엑셀 문서복구 오토세이브, 백업파일 기능을 활용 가능할가?, 엑셀로 문서 작업은 직장인이라면 빠질 수 없는 작업 중에 하나 입니다. 하지만 정말 힘들게 작업한 파일이 갑자기 다운이 되어서 처음부터 다시 작업을 해야 한다면 정말 당황하지 않을 수 밖에 없습니다.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모두 지원하는 건 아니지만 엑셀 문서 자동 복구 설정이 가능합니다. 엑셀문서를 작성하다가 예상치 못한 정전, 혹은 프로그램 오류, 또는 윈도우 다운, 에러 등에 대비하여 일정 시간 마다 임시저장되는 기능을 이용해서 엑셀 문서작업의 안정성을 높이세요.
엑셀 백업 복구 기능 설정은 아주 간단하고 옵션이 많이 있습니다. 단순설정이 아니고 자동백업 시간, 저장 위치등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갑자기 엑셀 작업하다가 다 날리는 최악의 상태를 막을 수 있습니다. 그럼 엑셀 임시파일 설정, 복원하는 방법을 배워볼까요?
엑셀 백업 파일 복구하는 일은 빈번하게 일어나닙니다. 자동저장 설정 보통 잘 안보는 곳에 숨겨져 있습니다. 그래서 잘 안 찾아지는 기능중에 하나인데 우서 아래처럼 엑셀을 한번 실행 해 주세요.
엑셀작업을 많이 사용하시는 사람들 중에 엑셀 문서 복구 기능을 모르시는 분들에게는 꿀팁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럼 엑셀 문서복구 설정, 자동백업 설정 어떻게 하는 지 알아볼까요?
1) 엑셀에서 기본으로 나오는 메뉴에서는 저장에 관련된 부분이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잘 모르고 지날때가 많습니다. 엑셀에 자장관련 부분은 평소 유심히 보지 않는 곳에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기본창에서는 많이 확인을 못하셨죠?
하지만 엑셀 문서 저장, 다른이름으로 저장, 혹은 새로만들기를 하실 때 아래 조그만 엑셀 옵션이라는 곳을 확인해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바로 이곳이 엑셀 문서 복구 설정을 할 수 있는 곳입니다. 엑셀 Exel옵션으로 들어가 주세요.
그럼 저장항목이 있습니다. 저장 항목을 클릭해 주세요.
저장 항목으로 들어가 보시면 통합문서 저장 메뉴가 있습니다. 처음 보신 분도 많으실 거 같습니다. 통합문서저장 방법을 사용자가 지정하는 방법인데 바로 자동 복구 정보 저장 간격이 핵심 입니다. 문사작업을 할 때 얼마만의 시간 간격으로 파일을 임시저장할 지 지장하는 곳입니다. 시간이 짧으면 짧을 수록 잃는 문서범위가 적어지겠지만 자주 사용하지 않는 기능으로 로딩이 생기는 부분을 감안한다면 보통 5분에서 10분이 적당할 거 같습니다.
그리고 복구 예외항목이 있는데 이 부분은 기본값으로 해두셔도 되고 설정을 해제하면 모든파일 자동저장기능이 실행됩니다. 보통 Book1은 버려도 되는 파일이 많죠?
엑셀문서 복구 작업창을 사용하여 파일 복구 하는 기능은 비정상적으로 엑셀 파일이 닫힌 경우 그 문서에 대한 임시파일 정보를 이용해서 복원하는 방법입니다. 그래서 저장 간격에서 마지막으로 저장한 시점이 가장 중요합니다.
비정상적으로 엑셀파일이 닫혔을 때 문서 복구는 엑셀을 다시 실행했을 때 아래 처럼 문서복구 창이 생성이 됩니다. 이곳에서 시간을 확인하고 가장 최근에 저장한 엑셀파일 복구를 하시면 됩니다.
저장 간격을 5분으로 설정한 뒤에 복구를 하니 거의 대부분의 파일이 아래처럼 모두 저장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엑셀 문서 복구 방법, 미리 임시파일 저장 기능을 활용해서 엑셀 작업 효율성을 높이세요.
이상으로 엑셀 문서 복구, 백업파일 자동저장 설정 하는 방법이었습니다.
'PC/인터넷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워포인트 임시저장 파일 위치, 백업파일 복구 (1) | 2015.02.25 |
---|---|
맥어드레스, Mac주소 확인하는 2가지 방법 (0) | 2015.02.24 |
구글 드라이브 파일, 사진 링크 공유하기 (0) | 2015.02.21 |
도메인(인터넷 주소) 구입 방법 및 가격 (URL, IP이란?) (0) | 2015.02.19 |
내 컴퓨터 IP 주소 확인하기, 인터넷 IP 보는법 (윈도우 7,8) (0) | 2015.02.10 |